본문 바로가기
부마민주항쟁
디지털 아카이브
부마민주항쟁 아카이브에서 제공되는 사료를 탐험해보세요.
검색
상세검색
부마아카이브 최근 소식
1987년 민주화운동 관련 자료 업로드
자세히보기
부마아카이브 기록물 현황
부마아카이브 소개와 기록물 현황 살펴보기
자세히보기
사료관리지침 마련
사료관리와 이용에 대한 상세한 실무지침 마련
자세히보기
플레이
일시정지
사료 라이브러리
부마민주항쟁에 대한 다양한 형태의 자료를 열람해보세요.
플레이
일시정지
다음
부마를읽다
[부마민주항쟁 참여자 일기장]

부마민주항쟁 당시 부산대에 재학중이던 학생이 시위 참여 과정을 기록한 일기장이다. 10월 16일 시위 모습을 시작으로 10월 19...

플레이
일시정지
다음
부마를말하다
[윤경태님 (재수생)]
구술자는 1960년 부산에서 출생했다. 동래고등학교와 부산대학교를 나왔다. 재수생 시절 경남학원을 다니다가 부마민주항쟁을 맞이했다. 그는 경남학원을 다니면서 한 선배로부터 일종의 의식화가 되었다고 한다. 구술자는 10월 17일 일찍 귀가하라는 학원 선생님의 말을 들었지...
플레이
일시정지
다음
부마를읽다
[민주선언문]

1979년 10월 15일 부산대 학생들에게 뿌려진 선언문이다.

10월15일 오전, 이진걸과 남성철이 '민주선언문...

플레이
일시정지
다음
부마를보다
[김탁돈 기자 컬렉션]
1979년 10월 16일 부산에서 시작하여 10월 18일 마산으로 이어진 부마민주항쟁 현장을 당시 국제신문 소속 김탁돈 기자님이 촬영한 사진을 통해 볼 수 있습니다.
플레이
일시정지
다음
부마를읽다
[故 김택용(전 부산일보 마산 주재) 기자 부마민주항쟁 취재 원고6]

부마민주항쟁 당시 부산일보 마산 주재 기자였던 故 김택용 기자가 1979년 10월 18일부터 21일까지 마산 현장을 취재한 취재 원고로 마산지역의 시위 발발과 전개 상황 등이 날짜와 시간대별로 자...

부마일지
'유신철폐'의 함성이 외쳐진 부산대학교 학생들의 교내시위가, 유신체제를 무너뜨린 반독재 민주항쟁으로 확산된 주요 과정을 입체적으로 확인해보세요.
자세히 보기
관련사료 열람안내
부마민주항쟁기념재단을 통해 부마아카이브의 사료를 열람할 수 있습니다. 신청방법 : 인터넷, 전화 신청
관련사료 기증안내
소장중인 어떠한 형태의 자료라도 기증 의사가 있으신 분은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부산사무소 : 051-468-1016 마산사무소 : 055-265-1018